목록전체 글 (211)
개발의 시작과 끝
11일차 15:00 ~ 19:00 : codeup 3문제 이상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 컴퓨터가 인식가능한 0과 1로 구성된 이진 코드이다. 이진 코드라고도 불리는 바이너리 코드는 텍스트나 컴퓨터 프로세서 명령, 또는 그 밖의 2심볼 시스템을 사용하는 데이터를 대표하며 대개 이진 숫자체계 0과 1을 의미한다. 바이트 코드(Bytecode) 특정 하드웨어가 아닌 가상 컴퓨터에서 돌아가는 실행 프로그램을 위한 이진 표현법(0과 1로 구성)이다.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되기 때문에 보통 기계어보다 더 추상적이다. 바이트코드는 특정 하드웨어에 대한 의존성을 줄이고, 인터프리팅도 쉬운 결과물을 생성하고자 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 출력 코드의 한 형태로 사용된다. 사람이 읽기 쉽도록..
10일차 15:00 ~ 18:50 : codeup 숙제 codeup 3019 : 스케줄 정리 입력 첫째줄에 데이터의 개수 n이 입력된다.(1
9일차 19:00 ~ 21:00 : codeup 숙제 23:00 ~ 01:50 : codeup 숙제 codeup 1805 : 입체기동장치 생산공장 입력 첫째 줄에 입체기동장치의 갯수 n이 입력된다. (1
8일차 14:00~17:00 : codeup 숙제 19:00~22:00 : codeup 3문제 이상 거품 정렬 흐트러진 숫자 순서대로 정렬하기
7일차 15:00~18:50 : codeup 숙제, 3문제 이상 toCharArray 문자열을을 char형으로 새로운 문자 배열로 변환한다.
6일차 15:00 ~ 18:50 : codeup 3문제 이상 codeup 1093 : [기초-1차원배열] 이상한 출석 번호 부르기1 입력 첫 번째 줄에 출석 번호를 부른 횟수인 정수 n이 입력되고, 두 번째 줄에는 무작위로 부른 n개의 번호(1 ~ 23)가 공백을 두고 순서대로 입력된다.
5일차 16:00 ~ 20:00 : codeup 5문제 이상 프로그래밍 언어 0과 1만 있는 기계어(컴퓨터 언어) 개발자가 쓰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사회가 점점 더 많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요구하기 시작하면서 기계어보다는 그니마 인간적인 자연어(우리가 사용하는 언어) 어셈블리 언어가 탄생 한다. 그리고 C언어 탄생 result = a + b; C언어를 컴파일로 거쳐 어셈블리가 기계어로 변환한다. 관리의 핵심은 모듈화(객체화)이다. C언어로 객체화 하는게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문법적으로 도움받을 수 있는게 없다. 이후 C++이 탄생한다. C++ = C언어 + 객체지향 문법 그리고 가비지 컬렉터를 가지고 있는 C#, 자바가 나온다. 자바 = c++ + 가비지 컬렉터 - 메모리를 다루는 기능 1세대 - 기계어 ..